연예인 중세인들은 목욕을 안 하고 썩은 고기를 먹었을까? [33]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0회 작성일 24-06-14 23:38

본문

1.jpg 중세인들은 목욕을 안 하고 썩은 고기를 먹었을까?



일반적인 믿음

사람들이 생각하는 중세 시대의 모습은 오늘날 우리보다 훨씬 더 더러웠다는 것이다.

중세 사람들 대부분은 농노였는데, 이들은 흙과 거름 속에서 일하고 살았던 농업 노동자들이었고, 그들의 몸은 이와 벼룩의 영구적인 서식지였다.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 일반적이었던 비누와 목욕은 중세 시대에 이르러 부유하거나 가난하거나 간에 사라졌다. 농민들은 진흙으로 뒤덮인 반면, 부유한 사람들은 아마도 일 년에 한 번 정도 목욕을 했겠지만 대개 값비싼 향수로 악취를 가렸다.

중세의 도시들은 훨씬 더 심했다. 화장실이나 하수 시설이 없었기 때문에 도시의 거리와 길은 인간과 동물의 배설물, 요리와 산업에서 나온 쓰레기로 가득했다. 이러한 마을의 불결함은 당시 공중위생에 대한 개념이 없었고, 중세 관리들과 정부는 사람들의 건강에 아무런 관심도 기울이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생각들은 손다이크(Thorndike, 1928, 192)에 의해 캐리커처로 제시되었다. 19세기의 작가 존 윌리엄 드레이퍼(John William Draper)는 유럽이 천 년 동안 불결함, 게으름, 공허함 속에서 전혀 변하지 않았다고 상상했다.

이러한 불결한 도시들은 필연적으로 질병의 온상이었다. 중세 사람들은 목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대인들보다 끔찍한 질병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았다. 따라서 중세 시대에는 페스트가 만연했다는 추측이 있다. 최근에 나온 십자군 전쟁에 관한 어린이 책에서는 (근거 없이) "십자군은 목욕을 자주하지 않았기 때문에 질병과 전염병에 취약했다"고 주장한다. (Cartlidge, 2002, 26)

중세 시대의 질병을 다루는 한 인기 있는 웹사이트에서는 "비위생적인 중세 시대에 유럽을 괴롭혔던 7가지 질병"이라는 제목으로 이러한 고정관념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질병"은 성 안토니의 불, 선페스트, 무도병, 수병, 연주창(림프절 결핵), 수녀들의 부적절한 행동, 영국 땀병(English sweating sickness)이다. (Bunn, 2015)

중세 시대는 터무니없는 질병이나 행동과 그것들을 야기했다고 여겨지는 불결함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비록 대부분의 질병이 위생과 관련이 없고, 그중 몇 가지는 중세 이후의 것이지만 말이다.

중세 농민들이 불결하고, 이가 들끓고, 질병에 시달렸다고 상상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했는지, 일부 대중 역사서에서는 중세 사람들이 상한 고기를 먹었고, 그 냄새를 향신료로 가렸다고 주장한다. 대중의 생각에 따르면 중세 사람들은 극도로 가난했고 신선한 음식을 먹을 수 없었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한 고기를 먹어야 했다.



이야기가 퍼지게 된 경위: 목욕

중세 시대 내내 변함없이 더러웠다는 생각은 거의 전적으로 프랑스의 역사학자 쥘 미슐레(Jules Michelet, 1798-1874) 한 사람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악명 높게도 중세 시대를 "목욕을 하지 않은 천 년"이라고 단언했다. (Michelet, 1862, 110)

미슐레는 19세기 프랑스에서 매우 인기 있는 작가였고, 그의 저서들은 수많은 다른 언어로 번역되어 중세에 대한 그의 극단적인 생각을 전 세계로 전파했다. 미슐레는 중세 시대를 찬양했던 당대 프랑스 보수주의자들을 조롱하기 위해 중세 시대의 불결함을 의도적으로 과장한 것으로 보이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의 말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였다.

중세에 대한 미슐레의 악명 높은 말은 허투루 던진 말이 아니었다. 그것은 중세 사회의 물질적, 정신적 후진성에 대한 그의 주장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서, 13세기에 나병의 확산으로 가장 잘 드러난다고 그는 주장한다. 그는 나병의 확산을 십자군 전쟁 동안 유럽과 아시아의 접촉, (먹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성적 자극을 위한) 이국적인 향신료에 대한 유럽인들의 욕구 증가, 그리고 특히 육체를 혐오하는 가톨릭 성인들과 성직자들이 설파했다고 여겨지는 청결에 대한 혐오 등 다양한 원인으로 돌린다.

미슐레는 모든 유럽 농민들이 중세 수도사들을 맹목적으로 따랐다고 주장한다. 이 수도사들은 육체와 성에 대한 과도한 혐오감을 가르쳐서 옷을 벗는 것조차 거부했고, 따라서 몸을 씻지도 않았다고 한다. 당연하게도 그는 "몇몇 성인이 손도 씻지 않은 것을 자랑스럽게 여겼다"는 말 외에는 이러한 주장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제시하지 않는다. (Michelet, 1863, 118)

존 윌리엄 드레이퍼(John William Draper), 쥘 미슐레, 그리고 다른 19세기 역학자들은 극소수의 성인들의 극단적인 금욕주의와 육체적 고행을 모든 중세 사람들에게 적용하는 잘못을 저질렀다. 드레이퍼는 앞에서 본 것처럼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베켓(Thomas Becket, 1119-1170)에 대한 이야기를 언급한다. 그가 잉글랜드 왕 헨리 2세의 휘하 기사들에게 살해당한 후 그의 시신을 수색했을 때, 그의 호화로운 성직 예복 아래에는 불결한 벌레들이 들끓는 거칠고 더러운 동물 가죽이 입혀져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역사가들은 이제 이것을 육체적 방치를 통한 종교적 헌신의 독특한 행위로 인식하지만, 드레이퍼는 12세기 영국에서 가장 부유하고 권력 있는 사람 중 한 명이 이렇게 불결했다면 하층민들은 훨씬 더 심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었다.

중세의 한 가지 사례를 중세 전체에 적용한 유사한 사례에서,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 흑사병 기간 동안 목욕에 대한 비난을 잘못 해석하거나 과장한다. (Stapelberg, 2016, 167) 1348년, 파리 대학교 의과대학 대표들은 당시 페스트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한 성명을 발표했다. (Horrox, 1994, 163) 여기에는 너무 많이 목욕을 하지 말라는 경고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들은 모공이 열려 페스트를 유발하거나 전염시킨다고 생각했던 오염된 공기(miasma)가 들어올 수도 있다고 우려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들이 세균 감염을 잘못 이해한 것에 대해 비웃을 수도 있지만, 여기서 요점은 "너무 많이" 목욕을 했던 사람들에 대해서만, 그리고 이 특정한 경우에만 목욕이 제한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목욕에 반대하는 게 아니다.

20세기와 21세기의 대부분의 중세 관련 서적들이 이러한 종류의 언어나 중세 사람들의 몸에 대한 근거 없는 결론을 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세 농민들, 심지어 모든 중세 사람들의 만연한 불결함은 영화와 텔레비전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주제이다.

클리셰적인 장면에서 카메라는 깨끗한 얼굴에 화려한 옷을 입은 고귀한 기사들과 귀부인들에서부터, 옷은 간신히 걸치고 얼굴과 손에는 흙이 묻어 있는 힘없는 농민 무리로 이동한다. 그 흙은 오래된 "중세" 영화의 어리석고 지나치게 달콤한 의상과 대조적으로, 우리에게 "진짜" 중세를 보여주기 위해 불쾌한 현실감을 더하기 위한 것이다.

중세 영화에서 점점 더 심해지는 흙과 때는 에롤 플린(Errol Flynn)의 화려하고 늠름한 《로빈 후드의 모험》(Adventures of Robin Hood, 1938, 감독 마이클 커티즈(M. Curtiz)와 윌리엄 키글리(W. Keighley))에서 케빈 코스트너(Kevin Costner)의 먼지투성이 우정을 다룬 《로빈 후드: 도둑들의 왕자》(Robin Hood: Prince of Thieves, 1991, 감독 케빈 레이놀즈)를 거쳐, 마침내 러셀 크로우(Russell Crowe)의 《로빈 후드》(Robin Hood, 2010, 감독 리들리 스콧)의 매우 불쾌하고 "역사적으로 그럴듯한" 세계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Bildhauer, 2016, 57-58) 이러한 중세 영화에서 흙과 폭력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우리는 로빈과 그의 즐거운 친구들(Merry Men)과 같은 산적 무리에게서 어느 정도의 흙을 현실적으로 기대할 수 있지만, 중세의 사실성을 암시하기 위해 흙을 사용하는 더욱 분명한 예는 버나드 콘웰(Bernard Cornwell)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국 텔레비전 드라마 《라스트 킹덤》(Last Kingdom, BBC Two, 2015)에서 볼 수 있다. 첫 번째 에피소드의 오프닝 시퀀스에서는 서기 866년 바이킹의 공격을 받는 앵글로색슨 노섬브리아(Northumbria)의 가상의 (하지만 역사적으로는 설득력 있는) 왕국의 수도가 등장한다. 목적 없이 떠도는 농민 무리에서부터 왕 자신과 그의 왕실 집사에 이르기까지 이 도시에 사는 거의 모든 앵글로색슨인들은 옷과 얼굴이 더럽다. 건물과 가구 역시 조잡하게 만들어졌고 흙으로 뒤덮여 있다. 우리는 이 사람들이 자신의 몸과 집, 도시를 청소할 생각도 없고, 그럴 줄도 모른다고 믿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불결한 현실주의는 종종 설득력이 있다. 실내 배관이나 거울을 쉽게 구할 수 없었던 이 사람들은 분명히 우리보다 훨씬 더 더러웠을 것이다. 그렇지 않은가?



실제로는 어떠했는가: 목욕

그렇다면 중세 사람들은 얼마나 더러웠을까? 이는 간단한 답이 없는 간단한 질문이다. 일부 역사가들은 중세 사람들이 거의 목욕을 하지 않았다는 대중적인 견해를 지지하는 반면, 다른 역사가들은 위생적인 목욕이 중세 시대에 비교적 일반적이었고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목욕을 했다고 주장한다.

현대인들이 중세의 청결함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 중 하나는 오늘날 우리 대부분이 모든 가정에 깨끗한 개인용 화장실과 욕실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현대 사회가 우리에게 공중 화장실과 공중목욕탕을 육체적, 도덕적 청결과 연관짓도록 조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불과 지난 세기의 산물일 뿐이며 고대, 중세, 심지어 빅토리아 시대까지의 근세에 이르기까지 청결에 대한 태도를 반영하지 않는다. 유럽의 19세기는 중세 시대만큼 비위생적이었고, 밀집된 산업 도시의 부상을 고려하면 훨씬 더 심했다고 할 수 있다.

미슐레의 권위와 중세 시대에는 목욕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그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고고학적 증거와 남아 있는 중세 건물, 그리고 수많은 의학, 법률, 종교 문헌의 증거들은 적어도 도시 지역에서는 목욕이 비교적 일반적이었고 중세 사람들이 청결과 위생에 대해 깊이 신경 썼음을 압도적으로 증명한다.

이는 중세 시대에 목욕이 고대만큼이나 일반적이었다는 말은 아니다. 영국의 바스(Bath)에서 예루살렘, 로마에 이르기까지 로마 제국 전역의 도시 유적에는 거대한 공중목욕탕과 개인 목욕탕의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러나 중세 시대에 목욕이 덜 일반적이 되었다는 것만으로 목욕이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코스의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of Cos, 기원전 460-370년경)와 그의 수많은 "히포크라테스 학파" 추종자들의 글에서 볼 수 있듯이, 목욕에 대한 전형적인 중세의 생각은고대그리스-로마에서 물려받은 것이다. 《급성 질환의 식이요법》(On Regimen in Acute Diseases)에서 목욕에 관한 구절은 앞에서 언급한 저서와 다른 많은 히포크라테스 저서들이 중세 시대, 특히 11세기 이후에 번역되어 읽혔기 때문에 여기에 실었다. 히포크라테스는 목욕을 신체, 체액, 원소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보았고, 중세 사람들도 마찬가지였다. 중세의 목욕은 청결, 치유, 물리 치료를 위해 행해졌기 때문에 현대의 목욕만큼이나 복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왕족과 고위 귀족을 제외한 중세 사람들은 목욕이나 화장실을 위한 실내 배관이나 개인 배관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극도로 불결한 환경에서 살았고 결코 몸을 씻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12세기경 유럽의 큰 도시에서는 공중목욕탕이 일반적이었다. 12세기 학자 알렉산더 네캄(Alexander Neckam)은 파리 거리에서 목욕탕 직원들이 물이 뜨겁다고 외치는 모습을 묘사한다. 13세기 파리의 한 기록에는 32개의 공중목욕탕이 기록되어 있다. (Archibald, 2005, 110-11)

목욕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인 파비올라 I. W. M. 판 담(Fabiola I. W. M. Van Dam)은 중세 시대에 목욕이 이해된 다양한 방식을 탐구했다. "목욕은 좋다" 또는 "목욕은 나쁘다"와 같이 단순하게 말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중세 사람들은 주로 신체 건강에 대한 이해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이유로 목욕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 담은 설교, 백과사전, 의학 매뉴얼과 같이 다양한 저작물을 쓴 중세 작가들이 대개 목욕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van Dam, 2012) 중세 후기의 설교자들은 목욕 자체나 청결에 반대했기 때문이 아니라, 당연하게도 공중목욕탕이 불도덕적인 행위의 장소였기 때문에 목욕을 자주 비난했다.

중세 시대에 가장 인기 있었던 목욕탕 중 일부는 영국 바스의 술리스 미네르바(Sulis Minerva) 목욕탕이나 이탈리아의 포추올리(Pozzuoli) 목욕탕과 같이 천연 온천수 주변에 형성되었다. 둘 다 고대에 존재했고 중세 초기에는 방치되었을 수도 있지만, 중세 성기에 재건되고 부활했다. 포추올리 목욕탕의 효능과 다양성은 앞에서 본 것처럼 페터로 다 에볼리(Peter of Eboli)와 같은 작가들에 의해 특히 홍보되었다.

중세 목욕의 마지막 증거로,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rer, 1471-1528)가 1496년경에 제작한 공중 남성 목욕탕 목판화를 볼 수 있다. 현명하게도 여성 목욕탕(뒤러는 이것도 판화로 출판했다)과 분리되어 있었다. 이 작품은 벌거벗은 인체를 찬미하는 "르네상스"의 걸작으로 당연히 여겨지지만, 뒤러는 중세 후기 유럽 공동체의 일상적인 활동을 묘사하고 있었다.

거의 모든 중세 사람들이 개인 욕실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므로, 그들은 의심할 여지 없이 현대 사회의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조금 더 더러웠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암흑 시대"를 단순히 오늘날의 반대로 상상하고 중세 사람들이 목욕을 하지 않았고 심지어 목욕을 싫어하거나 두려워했다고 단정하는 함정에 빠져서는 안 된다. 대개 공중목욕탕에서 이루어졌던 정기적인 목욕은 중세 생활의 중요한 요소였다.



이야기가 퍼지게 된 경위: 향신료와 상한 고기

불결한 중세 농민의 이미지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은 중세 사람들, 적어도 가난한 사람들은 상한 고기를 먹었고, 그 악취와 맛을 감추기 위해 향신료를 사용했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근거 없는 믿음은 중세 사람들에 대한 몇 가지 잘못된 가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들은 위생의 기본에 대해 너무 무지해서 신선한 고기와 상한 고기를 구별하지 못했거나, 종종 너무 가난해서 (혹은 아마도 부주의해서) 상할 때까지 고기를 보관해야 했거나, 그들의 위장은 우리보다 훨씬 강해서 상한 고기를 먹어도 괜찮았다는 것이다. (van Winter, 2007, 55-56)

중세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상한 고기를 먹었다는 믿음은 여전히 언론에서 자주 언급되지만, 1939년에 출판된 한 책보다 오래된 것 같지는 않다. 잭 세실 드러먼드 경(Sir Jack Cecil Drummond, 1891-1952)은 영국의 화학자이자 영양학자였는데, 그는 1939년에 아내 앤 윌브램(Anne Wilbraham, 1907-1952)과 함께 《영국인의 음식: 5세기에 걸친 영국 식단》(The Englishman’s Food: Five Centuries of English Diet)을 썼다. (그들은 1952년 프랑스에서 휴가를 보내던 중 딸 엘리자베스(Elizabeth)와 함께 비극적으로 살해당했는데, 이 사건은 "도미니치 사건(Dominici affair)"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전히 범죄 역사가들과 경찰 관계자들이 연구하고 있다.)

《영국인의 음식》의 대부분은 영국 식단, 영양, 요리의 보다 최근 역사를 다루고 있다. 맨 앞부분에서만 중세 후기와 근세 초 영국 음식에 대한 간략한 역사를 제공하는데, 바로 여기서 드러먼드와 윌브램은 상한 중세 고기에 대한 근거 없는 믿음을 만들어냈다.

드러먼드와 윌브램이 묘사한 중세 요리는 대부분 중세 후기 런던을 배경으로 하는데, 런던에는 조리된 고기 파이를 사거나 자신의 고기를 요리해 먹을 수 있는 초기 형태의 식당인 고기 가게(cookshops)가 많았다. 이 시기에 이러한 고기 가게에서 상한 고기를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이 존재했는데, 드러먼드와 윌브램은 이로부터 모든 중세 사람들이 정기적으로 상한 고기를 먹었다는 결론을 추론해냈다.

따라서 증거에 따르면 중세 런던의 정부는 실제로 건강과 식품 안전에 대해 관심을 기울인 상당히 현대적인 정부였지만, 드러먼드와 윌브램은 불결하고 병든 중세 사람들에 대한 일반적인 고정관념에 맞추기 위해 과장할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1594년에 나온 "green" 고기를 개선하기 위한 레시피를 잘못 이해함으로써 문제를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이 레시피는 고기를 포장해서 하루 동안 묻어 두라고 요구했다. 그들은 "green"을 "상한"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였지만, 당시에는 숙성이 필요한 갓 죽인 동물의 고기나 코티지 치즈나 리코타 치즈와 같은 숙성되지 않은 치즈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영어 단어였다. 고기를 묻으면 숙성 과정이 빨라져 일부 부위의 소고기와 야생 사냥감의 맛이 부드러워지고 풍미가 좋아진다. (Myers, 2018)

자들은 1594년의 "green" 고기에서 중세 향신료 무역으로 논리적 비약을 하면서 "고기에 강한 양념을 하는 것이 유행했던 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악취를 감춰야 할 필요성이 빈번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저자들은 동양에서 온 이국적인 향신료가 이러한 목적에 가장 적합했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양파, 마늘, 허브를 사용할 수도 있었다고 주장한다. (Drummond and Wilbraham, 1991, 37)



실제로는 어떠했는가: 향신료와 상한 고기

이국적인 향신료는 고대 로마와 중세 요리 모두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500년에서 1000년까지의 초기 중세 시대에는 장거리 무역의 감소로 이국적인 향신료의 공급이 줄어들었지만, 후추와 같은 일부 향신료는 여전히 구할 수 있었다.

향신료는 11세기부터 유럽에서 다시 더 많이 구할 수 있게 되었지만, 값이 비쌌다. 중세의 "향신료" 범주는 오늘날 우리의 범주보다 훨씬 더 넓었다. 여기에는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생강, 갈랑갈, 계피, 정향, 사프란과 같은 요리용 향신료 외에도 수지, 향수, 알로에, 장뇌, 스캠모니와 같은 약재가 포함되었다. (Benito, 2012, 53-54)

일반적으로 향신료를 정의한 것은 원산지였다. 향신료는 "동양"에서 왔는데, 동양은 중동, 인도 아대륙, 중국, 현대 인도네시아의 "향신료 제도"뿐만 아니라 지중해의 섬들과 동아프리카의 스와힐리 해안을 의미할 수도 있었다. 향신료는 "동양"과 서유럽을 잇는 주요 중개상이었던 지중해의 이탈리아와 아랍 상인들에게 귀중한 무역품이었다. 그들은 이러한 이국적인 상품을 부유한 가정, 대도시의 향신료 상인, 약사, 의사에게 직접 판매했다.

요컨대 향신료는 비쌌다. 상한 고기를 먹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살 수 있는 품목이 아니었다. 중세 음식사학자인 요한나 마리아 판 빈터(Johanna Maria van Winter)는 이 점을 분명히 한다. 11세기에 향신료를 많이 넣은 음식이 증가한 것은 상한 고기와 생선의 소비가 증가했기 때문이 아니라, 유럽 상인들이 향신료의 높은 가치와 상대적으로 가벼운 무게를 새롭게 인식했기 때문이다. 향신료 무역은 동부 지중해에서 무역 위험을 감수할 의향이 있는 사람들에게 매우 수익성이 높았다. (van Winter, 2007, 23) 향신료는 보존을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라, 가격이 비싸서 정교한 요리 전시와 약재로 사용하기 위해 아껴 두었다.

고기는 향신료보다 훨씬 저렴했기 때문에, 향신료를 살 여유가 있는 사람이라면 신선한 고기도 살 여유가 있었다. (Freedman, 2008, 3-4) 판 빈터는 우리에게 이렇게 상기시킨다. "그들의 식량 저장 방식이 현대 서구 사회보다 덜 정교했을 수도 있지만, 그들이 항상 식중독의 위기에 처해 있었고 강한 양념으로 이를 감추려고 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 ... [그들은] 무엇이 건강에 좋고 무엇이 나쁜지 알고 있었다." (van Winter, 2007, 56)

이는 흑사병 이후 인구가 급감하고, 많은 지역에서 전염병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임금이 인상되고, 동유럽에서 고기 공급이 증가하면서 고기 소비가 더욱 일반화된 중세 후기의 하층민들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중세의 농민과 귀족 모두 소금과 식초를 사용하여 특히 햄, 베이컨, 돼지 어깨살을 만들 때 고기를 보존하고 부패를 방지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Benito, 2012, 47-48, 52)



-Winston Black, The Middle Ages: Facts and Fiction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88,616건 9 페이지
커뮤니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2623 연예인
쿠로
1 16:28
73543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1 16:27
96597 연예인
쿠로
1 16:26
75076 연예인
쿠로
0 16:25
34322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0 16:11
48089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0 16:10
66138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0 16:08
23506 연예인
쿠로
1 16:07
92058 연예인
쿠로
1 16:06
53618 연예인
쿠로
2 16:05
35043 연예인
쿠로
1 16:04
61709 연예인
쿠로
1 16:02
26084 연예인
쿠로
1 16:01
70857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0 15:53
79238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0 15:52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