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67]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39회 작성일 24-05-24 11:48

본문

https://www.fmkorea.com/7064869159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1)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그런데.. 왜 호랑이는 주황색이지?? 초록색이면 더 안보이잖아.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고라니 : 븅신아ㅋㅋ 호랑이는 초록색이지 뭔 주황색이냐 ㅋㅋㅋㅋ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님...혹시 뭐 적녹색맹 그런거임??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고라니 : ㅇㅇ 그러니 매번 잡아 먹히지 븅신아 ㅋㅋㅋ끼에에엑!!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인간(침팬지, 고릴라 같은 유인원과 일부 원숭이를 포함)은 색을 감지하는 '원뿔(원추) 세포'의 종류가 세 가지이다.(적색, 녹색, 청색 빛을 감지)반면 대부분의 육상 동물은 녹색과 청색을 감지하는 원뿔(원추) 세포만 갖고 있다. 따라서 사슴의 눈에 숲 속을 거니는 호랑이는 대충 아래의 (a)와 같이 보인다.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사슴이나 멧돼지가 수풀이 우거진 곳에서 호랑이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거기에 호랑이는 "고양이과"이다. 밤에 고양이를 만나면 눈이 번쩍이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호랑이도 마찬가지이다.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인간과 같은 영장류와 돼지 등에게는 없는 일종의 거울 역할을 하는 '휘판(Tapetum)'이 호랑이에게는 존재한다. 휘판은 망막을 통과한 빛을 반사해 다시 망막 쪽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시력의 감도를 높여 어둠 속에서도 사물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인간이 개발한 야간 투시경도 기본 원리는 휘판과 같이 미세한 빛을 증폭하는 것이다.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또한, 호랑이의 눈가를 유심히 보면 모든 호랑이의 눈 밑에 하얀 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야구 선수가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눈 밑에 붙이는 아이패치와 정확히정반대의 효과가 있다. 즉, 어두운 곳에서도 더 빛을 모을 수 있는 것이다.
종합해보면 호랑이는 야간에 인간에 비해6배의 시력을 갖게 된다.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시베리아 호랑이)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다른 호랑이)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영국 더들리 동물원의 암컷 수마트라 호랑이 다십(Daseep, 좌)와 암컷 시베리아 호랑이 추나(Tschuna, 우)

시베리아 호랑이는 다른 호랑이들에 비해 털이 길고 두꺼우며 배에 하얀 털이 더 많이 난다. 주황색의 털도 옅은 편이다. 추위를 견디기 위해 털이 길고, 아무르 지방의 숲의 식물이 초록 빛깔이 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눈이 쌓여있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배와 가슴의 흰 털이 위장효과를 준다.



호랑이의 털 색깔과 무늬는 위장효과가 탁월해서 인지 호랑이의 이름을 딴 전투복 위장 무늬(Tiger Stripe)가 있을 정도이며, 현재까지도 개량을 거듭해 여러 나라의 군대에서 아직 쓰이고 있다. 저 실험하는 사람이 네 발로 숲을 포복자세로 어슬렁거리며 다닌다고 보면 된다.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심지어 발도 넓고 큰 데다가 육구(발볼록살, 발바닥 젤리)가 있어 소리가 잘 나지 않는다. 특히, 눈이 쌓인 곳에서는 흡음 효과가 극대화 되어 발자국 소리를 더더욱 듣기 어렵다.


후각은 4km 밖의 동물도 포착할 정도인데, 먹잇감이 남긴 배설물, 페로몬, 체액 등을 통해 추적과 추격을 해나간다.호랑이는 고양이과 공통조상(종 분화 이전의 생물 집단)에 비해 냄새 수용체가 발달해있는 데다가 인간에게 없는 야콥슨 기관(보습코 기관)이 있어 인간이 구분해내지 못하는 여러 가지 냄새를 포착해낼 수 있다.


시베리아 호랑이는 호랑이 중에서도 가장 큰 덩치를 자랑하기 때문에 송곳니도 크고 길며(약 8cm) 무는 힘도 900~1000psi(1평방 피트의 면적에 인가된 1파운드력) 정도로 상당히 강하다.


Video Player
00:00
00:00 / 00:00

다른 고양이과 맹수인 사자가 집단으로 무리에서 떨어진 약하고 어린 개체를 노린다면, 시베리아 호랑이는 뛰어난 위장 기술로 어슬렁 어슬렁 몰래 다가가 몸집이 크고 둔한 개체의 목덜미에 뛰어들어 순식간에 송곳니를 박아넣는 방법으로 사냥한다. 참고로 호랑이는 고양이과 동물과는 다르게 열대우림 출신이라 그런지


tiger-5430679_960_720.jp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물을 굉장히 좋아한다...수영을 잘해서 한 번에 5~6km까지 헤엄칠 수 있고 웬만한 강은 걷듯이 건너는 정도.(한강 폭 대략 1km 전후)

▲ 참고 영상 : (소리주의)(약혐) 만16개월 암컷 야생 벵갈 호랑이의 수컷 성체 멧돼지 사냥 장면


<세 줄 요약>

1. 호랑이 중에서도 시베리아 호랑이는 산악, 설산 지역에서 위장력이 극대화된다.

2. 호랑이의 야간 시력은 인간의 6배에 가깝다. 후각, 청각도 뛰어난 편이다.

3. 시베리아 호랑이는 호랑이 중에서도 가장 덩치가 크고 힘이 세다.


시베리아 호랑이를 밤에 산에서 마주친 사슴의 심정을 인간으로 치환해 설명해보자면,

깜깜한 밤에 물 마시러 방문을 열고 나갔더니

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image.png 시베리아 호랑이(아무르 호랑이)가 고양이과 끝판왕인 이유(2)
프란시스 은가누 + 날 부분 8cm의 나이프로 무장 + 야간 투시경(눈 심하게 번쩍 거림) + 위장 전투복 착용+ 포복으로 접근해서 내 동맥을 노리는 상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87,845건 8 페이지
커뮤니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27864 연예인
쿠로
0 22:39
33608 연예인
쿠로
0 22:38
64003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0 22:37
40159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0 22:37
90170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0 22:34
76958 연예인
쿠로
0 22:33
34153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0 22:32
17956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1 22:31
64975 연예인
쿠로
0 22:30
91147 연예인
쿠로
0 22:29
83594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0 22:28
73837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0 22:27
32805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0 22:26
99229 연예인
쿠로
0 22:24
24962 연예인
쿠로
0 22:2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