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반도체·디스플레이 '겹악재'에 삼성전자 영업익 '반토막&#039…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2,539회 작성일 19-10-07 05:37

본문

https://www.yna.co.kr/view/AKR20190405035700003?input=1195m


삼성전자는 올 1~3월(1분기) 연결 기준 잠정실적으로 매출 52조원, 영업이익 6조2천억원을 각각 올렸다고 5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분기(59조2천700억원)보다 12.3%, 지난해 같은 기간(60조5천600억원)보다 14.1% 각각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분기(10조8천억원)보다 42.6% 줄면서 거의 '반토막'이 됐고, 1년 전(15조6천400억원)에 비해서는 무려 60.4%나 급감했다. 지난 2016년 3분기(5조2천억원) 이후 10분기만에 최저치다.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17년 1분기(9조9천억원) 이후 처음이다. 역대 최고 기록이었던 지난해 3분기(17조5천700억원)와 비교하면 3분의 1수준이다.



또 반도체와 함께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사업은 2016년 1분기 이후 첫 분기 영업손실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IT·모바일(IM) 부문은 갤럭시10 출시 효과에 힘입어 전분기 영업이익(1조5천100억원)을 웃돌며, 소비자가전(CE) 부문은 4천억∼5천억원 수준의 무난한 성적을 냈을 것으로 업계에서 보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이 끝나자마자 삼성전자의 실적이 급격히 쪼그라들면서 그동안 우려됐던 '반도체 편중' 부작용이 현실화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타고 인공지능(AI), 자율주행, 5G 등의 분야에서 반도체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데다 IT업체들의 반도체 재고 조정도 어느정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어 이르면 2분기, 늦어도 하반기에는 다시 회복세로 접어들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는 양상이다.


아울러 폴더블 스마트폰과 프리미엄 가전, 자회사인 미국 전장업체 '하만(Harman)' 등도 실적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회사 측은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편중에서 벗어나기 위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노력에 속도를 더 내야 할 것"이라면서 "그러나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황에 대한 우려와 함께 이재용 부회장의 재판, 미중 무역분쟁 등 대내외적인 불확실성도 삼성전자에 악재"라고 말했다.



41290315544244940.PNG


41290315544244941.png


41290315544244942.jpg


41290315544244943.p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93,888건 44346 페이지
커뮤니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60275 연예인
쿠로
4072 15:51
60274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4180 15:51
60273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4363 15:50
60272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3958 15:50
60271 연예인
쿠로
4340 15:50
60270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3852 15:50
60269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3651 15:49
60268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3929 15:49
60267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3820 15:49
60266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3894 15:49
60265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4382 15:49
60264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3598 15:48
60260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3610 15:48
60259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3913 15:48
60098 연예인
쿠로
3958 21:10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