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 G7의 재구상 보고서 - 한국에 대한 언급을 중심으로 정리 [56]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9회 작성일 24-06-14 06:41

본문

오늘 발표된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에서 발표한 보고서인데, 한국에 대한 언급이 있어서 한국에 대한 언급 위주로 번역해보았습니다. 원문은https://www.csis.org/analysis/bending-architecture-reimagining-g7 여기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재밌게 봐주세용.


CSIS

미국 조지타운대학에 부설된 정책연구센터로, 국제 전략적인 이슈를 연구하는 미국의 대표적 대외정책 싱크탱크이다. 1962년 냉전시기 국가의 안보를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데이비드 애브셔와 알레이 버크가 영국의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를 본떠 설립했다.

CSIS의 연구 결과는 미국 정부의 정책에 반영되는 등 그 영향력이 매우 크며, 세계적으로도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1.A WORLD IN TURMOIL(혼란에 빠진 세상)

기존의 글로벌 거버넌스 시스템이 혼란에 빠졌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정학적 경쟁과 두 차례의 전쟁(우크라이나. 가자지구 전쟁)으로 얼어붙었습니다.
G20, 세계무역기구(WTO) 등 다른 기관의 성과는 저조합니다.
시간은 새로운 거버넌스 기관을 구축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지만, 기존 기관들을 '재구상'해야할 필요성은 있습니다.

이 CSIS 보고서는 보다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세계 질서를 육성하기 위해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유럽연합 등 선진 민주국가들로 구성된 G7그룹을 강화해야 하는 전 세계적인 필요성을 말해줍니다.

G7은 글로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미래의 기회를 활용하며, 신흥 및 중견국 경제의 비판적 목소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의제 설정, 제도화 및 기관 회원 자격에 초점을 맞춘 권장 사항을 제공합니다.

보고서 저자들은 약 36명의 전직 G7 핵심 인사들과 G7, 유럽, 아시아 외교 공동체 대표들로부터 조언과 비판적 의견을 구했습니다.


2. THE GLOBAL ROLE OF THE G7 (G7의 세계적 역할)

지난 몇 년 동안 오늘날의 중요한 글로벌 과제로 인해 G7이 광범위한 책임 영역을 적극적으로 실행해야 한다는 요구가 생겼다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지난 5년 동안 G7 리더십 정상회담에서는 9가지 글로벌 우선순위를 확인했습니다.

(1) the Indo-Pacific(인도 태평양)
(2) economic resilience and security(경제적 탄력성과 안보)
(3) food security(식량 안보)
(4) digital competitiveness(디지털 경쟁력)
(5) climate(기후)
(6) Ukraine(우크라이나)
(7) sustainable development(지속 가능한 개발)
(8) disarmament and non proliferation(군축 및 비확산)
(9) labor.(노동)

지난 5년 동안, 2018년부터 2023년까지 G7 지도자들의 성명 텍스트 분석하여 도출했습니다.

G7 지도자들이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글로벌 책임을 기꺼이 떠맡고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G7은 전 세계 선거구에서 더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G7의 의제가 전 세계적으로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인구와 세계 경제에서 G7이 차지하는 비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했고, 이는 선진 산업화된 민주주의 국가 밖에서의 G7의 정당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3. RECOMMENDATIONS FOR REIMAGINING THE G7 (G7 재구상을 위한 제안사항)

3-1) 제안사항1 : G7 의제 설정을 위한 합의 기반 접근 방식 생성하라

전통적으로 G7은 비공식적인 그룹이었습니다.
이러한 비공식성의 단점은 의제 설정의 비효율성과 대통령직 간 단절을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023년 히로시마 G7 성명은 AI 규범에서 사이버에 이르기까지 회원국을 위한 야심찬 글로벌 의제를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이탈리아가 의장을 맡은 2024년 Apulia G7 회의의 의제는 이러한 문제를 대부분 무시하고 북아프리카에서 이주하는 문제로 전환되었습니다.
두 가지 이슈 모두 중요하지만 의제 설정 기능의 불연속성은 최선이 아닙니다.
이는 국제 사회에 혼란스러운 신호를 전달하고 후속 조치 부족을 촉발하며 발표된 약속에 대한 감독 부족을 악화시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개별 국가 사무국의 업무를 보완하기 위해 과거, 현재, 향후 G7 주최국으로 구성된 비공식 "트로이카"를 만듭니다.
(2)지속성과 후속 조치를 보장하기 위해 핵심적이고 시급한 문제에 대한 태스크포스 구조를 구축합니다.
(3)두 갈래로 나누어진 의제 프로세스를 고려하십시오 -이 프로세스에는 G7의 핵심 관심사인 2~3개 항목과 주최국에게 매우 중요한 1~2개 항목이 포함됩니다.

3-2) 제안사항2 :G7에 호주와 한국을 포함하도록 확대

G7의 현재 구성은 세계 인구와 세계 경제의 감소하는 부분을 나타냅니다.
더욱이, G7 멤버십의 변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발전해 온 조직의 정체성의 일부였습니다.

20240613_232552.png G7의 재구상 보고서 - 한국에 대한 언급을 중심으로 정리
회원증강에는 논란이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 확장을 선호하는 두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첫째, G7 회원국이 책임 범위를 확대함에 따라 임무를 완수하기 위한 중요한 역량을 갖춘 새로운 주체가 필요합니다.
둘째, 현재 G7의 회원국은 유럽이 불균형적으로 장악하고 있습니다(유럽이사회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를 포함하여 9석 중 6석). 아시아 전체를 대표하는 나라는 단 하나뿐입니다. 개발도상국을 대표하는 어떠한 목소리도 배제합니다.
이러한 구성은 재구상된 G7이 글로벌 거버넌스의 탁월한 기관 역할을 수행하는 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호주와 한국은 G7 회원국 확대와 효율성 강화라는 "최적의 지점"에 속합니다.
조언가들은 모든 새로운 회원국이 G7의 사명을 지지하고, 정치적 가치를 공유하며, 국제 경제의 책임감 있는 청지기가 되어야 하며, 능력과 기여를 가져야 하며 그리고 무엇보다도 다른 G7 회원국들의 신뢰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호주와 한국은 각각 세계 12위와 13위의 경제 대국으로 이 기준을 쉽게 충족합니다.
(1) 신뢰와 책임: 호주와 한국 모두 신뢰할 수 있고 책임 있는 공공재 공급자로서의 기록을 입증했습니다.

두 미국 동맹국은 각각 제1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 이후 모든 주요 전쟁에서 민주주의와 규칙 기반 질서의 편에 서서 싸워왔습니다.
그들은 G7 지도자들을 사로잡은 과제에 맞서 싸우는 모범적인 지도자였습니다.
오늘날 호주는 중국의 부당한 경제적 강압에 대해 다른 누구보다도 강력하게 맞서고 있으며, 이는 산업화된 민주주의 국가의 중요한 광물 복원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경제적, 간접적 군사 지원을 제공하는 주요 제공국이며, 신흥 기술 공급망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두 국가 모두 G7에서 우선순위를 정한 다양한 글로벌 문제에서 리더십 역할을 입증했습니다.
20240613_233546.png G7의 재구상 보고서 - 한국에 대한 언급을 중심으로 정리
또한 두 나라 모두 G20의 건설적인 회원국이었으며 행정부 전반에 걸쳐 미국과의 강력한 협력을 보여주었습니다.

(2) 성과: 호주와 한국은 G7 지도자들에게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분야에서 현재 G7 회원국 중 일부를 능가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회원국은 과제를 해결하는 데 적합하도록 미래의 선진 및 산업화된 경제 유형을 보다 잘 대표해야 합니다.
figure 5와 6은 G7이 식별한 9가지 우선순위에서 호주와 한국이 여러 현 회원국보다 어떻게 더 나은 성과를 내는지 보여줍니다.

1.png G7의 재구상 보고서 - 한국에 대한 언급을 중심으로 정리

2.png G7의 재구상 보고서 - 한국에 대한 언급을 중심으로 정리


(3) 대표성과 가치: 호주와 한국은 산업화된 민주주의 국가의 비유럽 구성에서 "균형을 유지"합니다.
재구상된 G7은 과거의 모습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세계를 더욱 대표해야 합니다.
현재 G7은 유럽 중심적이며 전체 지역을 대표하는 아시아 국가는 단 하나뿐입니다.
호주와 한국은 인도 태평양 지역의 두 선진국을 대표하게 되며, 한국은 컴퓨팅, AI, 기술을 포함한 미래 경제의 상당한 발전을 보여줄 것입니다.

(4) 뛰어난 성과를 내는 다른 국가를 인식해야 합니다.
위의 figure 6의 지표는 스페인과 같은 다른 유럽 국가들이 G7 지도자들이 식별한 9가지 우선 분야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정기적인 대화 파트너로 간주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3-3) 제안사향 3 :공식적인 G7 아웃리치 메커니즘 구축

재구상된 G7이 탁월한 글로벌 거버넌스 기관이 되는 역할을 진정으로 수행하려면 소위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와 신흥 및 중견국 경제에 대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개발도상국과의 협의 전통은 연례 G7 의장과 외교장관 또는 재무장관, 정상회의 소집 전후에 공식 협의로 제도화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도상국과의 연계를 보장하고, 포용성을 입증하며, G7에 더 많은 신뢰성과 정당성을 부여할 것입니다.

단기적인 문제 영역으로 개발 및 기후 목표 추구, 새로운 규범 및 표준(예: AI 및 신흥 기술) 구현, 특히 중국, 러시아, 이란 및 북한과 관련된 전략적 신호 및 형성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아프리카연합,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중국, G20, 이슬람협력기구(OIC)로 확대되어야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93,949건 406 페이지
커뮤니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9815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8 07:56
22341 연예인
쿠로
6 07:37
72443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10 07:36
84681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8 07:34
68759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12 07:18
44460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6 07:16
67296 연예인
쿠로
11 07:15
78171 연예인
쿠로
11 07:14
63664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7 07:13
74759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10 06:53
29678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8 06:52
67405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7 06:51
76006 연예인
쿠로
4 06:50
80549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4 06:29
49422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6 06:2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