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 파묘하다 발견된 '청도 미라'…"382년 전 숨진 조선 남성"[24]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84회 작성일 24-04-13 02:55

본문

image.png 파묘하다 발견된 '청도 미라'…"382년 전 숨진 조선 남성"

2014년 발견된 미라의 주인공이 382년 전 숨진 62세 남성으로 확인됐다.

11일 국립대구박물관이 펴낸 '경상북도 청도군 고성이씨 이징 묘 출토 복식'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10월 경북 청도군 고성이씨 문중의 한 무덤을 옮기는 과정에서 발견된 회곽묘(灰槨墓)의 주인은 고성이씨 도사공의 후손인 이징(1580∼1642)이라는 인물로 밝혀졌다.

회곽묘는 관을 보호하기 위해 땅을 판 뒤 석회층을 만들어 안치하는 형태였다. 관 뚜껑을 열자 여러 옷감으로 꽁꽁 싸맨 시신이 모습을 드러냈다. 누비저고리, 도포, 적삼, 한삼, 버선 등을 갖춘 시신은 미라가 돼 있었다.

image.png 파묘하다 발견된 '청도 미라'…"382년 전 숨진 조선 남성"


피장자(무덤에 매장되어 있는 사람)가 입고 있었던 의복을 수습하는 과정에서는 가로 43cm, 세로 36cm 크기의 묵서가 발견됐다. 묵서에는 총 4행에 걸쳐 글자가 적혀 있었다.

정대영 학예연구사는 이를 보존 처리해 분석했고 '조선국 경상좌도 청도군 북쪽의 수야리에 거주하는 경진년(1580년)생 이징은 임오년(1642년) 11월 초6일 임신 일에 사망했다'고 해석했다.

유해는 발견 직후 바로 밀봉돼 서울대 의과대학으로 이송됐다. 이후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 디옥시리보핵산(DNA) 분석, 안정성 동위원소 분석 등을 거쳤다. 이징의 유해에는 그의 삶을 추정할 만한 단서들이 확인됐다.

홍종하 경희대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교수는 "미라 상태에서의 신장은 165.1cm로, 조선시대 일반적인 남성보다 큰 키"라며 "영양 상태는 양호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조선시대인 15∼19세기 남성의 평균 신장은 161.1±5.6㎝로 추정된다.

홍 교수는 "생명 활동이 멈춘 인체가 미라로 변하면 피부와 근육 등이 수축하면서 키가 줄어들기 때문에 생존 당시의 신장은 미라 상태에서 측정한 수치보다 클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징이 과거 먹었던 음식, 앓았던 병의 흔적도 발견됐다.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됐던 사실도 확인됐다.

홍 교수는 "피장자는 총 4종의 기생충에 감염됐는데, 조선시대 사람 중 절반 이상이 감염된 토양매개성 기생충과 폐흡충, 간흡충에도 감염돼 있었다"며 "농작물 외에도 민물고기나 가재 등을 날 것으로 섭취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92,293건 2284 페이지
커뮤니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4749 연예인
쿠로
156 02:52
43528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84 02:51
84766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94 02:50
55281 연예인
쿠로
90 02:49
36496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105 02:48
25939 연예인
쿠로
122 02:47
99186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92 02:45
57152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92 02:44
12745 연예인
쿠로
96 02:42
31124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95 02:41
54982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126 02:40
71786 연예인
쿠로
96 02:39
20746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98 02:39
74738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125 02:36
28967 연예인
쿠로
102 02:3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