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 계획부터 완공까지 31년, 눈물없인 볼수 없는 타이베이돔의 역사[28]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91회 작성일 24-04-16 08:57

본문

8c98e700-0b89-11ee-baba-fc9c4f6ac0ac.jpg 계획부터 완공까지 31년, 눈물없인 볼수 없는 타이베이돔의 역사

첫 시작은 1991년 11월 10일, 대만시리즈 7차전을 진행하던 타이베이 시립야구장(사진, 2000년 철거 이후 현재는 타이베이 아레나가 지어진 상태.)에 비가 내려 경기가 중단되자, 당시 관중들이 '돔구장이 필요하다'라고 외친데서 시작하게 됨.


대만시리즈도 7판 4선승제로 진행되니, 91년 대만시리즈는 7꽉으로 진행되었단 이야기인데 그 7차전에서 저런 일이 일어나버렸으니...


당시 독재체제 종식과정에 있던 대만 정부는 민심을 잡기 위해 다음해인 1992년, 타이베이시(당시에는 대만에 지방자치제가 실시되기 전으로, 대만의 지방자치는 1994년에 시행되었음)에 돔구장 건설을 검토하라는 명령을 내리게 됨.


이에 타이베이시는 TF를 설립하고, 시 관계자들이 미국과 일본의 돔구장을 돌아다니면서 계획을 수립했는데...


계획만 수립된 채로 그대로 건설계획이 페이퍼플랜으로 남게 됨. 이유는 역시나 막대한 건설비 때문.


----------------------------------


1974航照.JPG 계획부터 완공까지 31년, 눈물없인 볼수 없는 타이베이돔의 역사

이렇게 잠을 자던 계획안은 2002년 민자사업으로 건설하기로 하고, 부지는 타이베이 시내의 담배공장 이전부지(사진)를 활용하기로 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에 들어가게 됨.


13e5147aa80a8e71.jpg 계획부터 완공까지 31년, 눈물없인 볼수 없는 타이베이돔의 역사

(2013년 공사현장을 감독하는 당시 타이베이시장 하오룽빈)


그렇게 2006년 민자사업자를 찾아 2009년 설계에 들어갔고, 2011년 환경영향보고서가 통과되면서 2012년 착공함. 당시 타이베이시와 민자사업자는 2017년 타이베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하계유니버시아드 주경기장으로 쓸 목적으로 2015년 말에 완공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었음.


그런데, 2014년, 타이베이시장이 교체되며 한바탕 난리가 시작됨.


柯文哲_IMG_9322-1_(14300234412)_(cropped_2).jpg 계획부터 완공까지 31년, 눈물없인 볼수 없는 타이베이돔의 역사

그 시작은 2014년 대만 지방선거에서 그동안 재임해왔던 국민당 소속 하오룽빈 시장이 연임 제한에 걸려 퇴임하고 새로운 시장으로 민진당계 무소속 커원저(사진)가 당선되면서였음.


커원저는 취임 후 전임 시장의 비리도 파헤칠 겸(?) '타이베이돔 민자계약이 지나치게 민자사업자에게 유리하게 책정되었다'라고 주장하며 계약 재점검에 들어갔음.


그런데 그 과정에서 안전 문제가 걸린 것임. 당시 안전보고서에서 지적된 사항은 다음과 같았음


1) 설계 변경으로 초기 계획보다 돔의 크기가 커졌지만, 이 과정에서 돔 구조물의 설계하중은 변경하지 않아 유사상황시 위험할수 있음

2) 출구의 개수가 적고 배치가 균일하지 않아 화재시 만원 관중이 골든타임 내에 탈출할수 없음

3) 공사 부지의 지반침하가 관측되었음


이런 이유로 2015년 타이베이돔은 지붕 골조만 완공된 상태에서 공사가 무기한 중단되고 맘.


공사 중단 이유에 대해 한국에서는 설계 과정에서 높이계산을 잘못해 실제 야구를 하기 어려울 정도로 돔이 낮게 건설(...)되어 공사가 중단되었다라는 낭설이 떠돌았던 적이 있었음.


뱀발이지만 커원저는 이후 민진당과도 관계가 틀어지고, 현재는 제3지대 정당 '대만민중당'을 창당해 대표로 있는 상태임. 지난 1월 열린 대만 대선에 출마해 26.5%라는 제3후보로는 상당한 득표를 하기도 했음.


----------------------------------

h-01owROrRNWbzURGvqe7tWWqEvNlsIbbZ1VDtTUxfndyuaw2uH5wfHVMOnibjo2DH04ihfvhI5DGZMEQHl_7JakT4VKjgskX62eBP5GBxXthvI0LjiibhLT7VbgO6i3WZrlcR44kliBwogD2hbuJA.webp.ren.jpg 계획부터 완공까지 31년, 눈물없인 볼수 없는 타이베이돔의 역사
(공사 중단 당시의 타이베이돔)


공사가 중단된 뒤, 타이베이시와 민자사업자는 책임공방을 벌이기 시작함.


TW-taipei_city.png 계획부터 완공까지 31년, 눈물없인 볼수 없는 타이베이돔의 역사
타이베이시 : 님들이 잘못해서 공사 중단된거니까 님들 돈으로 고치고, 민자 계획도 특혜받은거니까 계약 다시 하슈. 안 그러면 공사 재개 안시켜줄거니까



Farglory_Group_Logo.svg.png 계획부터 완공까지 31년, 눈물없인 볼수 없는 타이베이돔의 역사

위안슝그룹(민자사업자) : 이건 어딜봐도 정치적 모함이다! 민자계획을 다시 할바에는 차라리 여기서 발 뺄거니까, 님들이 손해배상 해주고, 건물은 남겨둘테니까 님들이 새 사업자를 받아서 완공하던가, 아니면 시 예산으로 완공하던가, 아니면 그냥 철거하거나 님들 마음대로 하슈.



이렇게 2016년, 민자사업 계획이 취소되기 직전까지 갔는데, 위안슝그룹도 진짜로 돔을 포기하고 싶진 않았는지 결국 한발 물러서기로 했음.


2019년에는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 손정의가 타이베이돔 민자사업권을 인수하려 검토한 적이 있고, 위안슝그룹 측도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는 공식 보도자료를 냈었지만, 타이베이시와 합의하면서 무산된 것으로 보임.


----------------------------------------


그렇게 수년간 방치된 타이베이돔은 2020년 정치적 부담을 우려한 타이베이시가 민자사업자가 전격 합의하면서 공사 재개가 확정되었음.


사실 이 기간에도 타이베이돔이 완전히 방치된건 아니었는데, 골조만 공사된 상태에서 골조의 부식이 진행될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자 서둘러 지붕공사를 진행했던 적이 있음,


vrwP1cu9cY2YL4Fg3aXpJtHyHIQWv4q0Pd5fNOzmBc_N1FzH6Nw5O-6uyBxRWdFh9ZWm3gqlEYmIYotVm4auEDxyaI29_jfgai1Y2VBMvG4m0fOjHQwh3OeIbESvsTKH2X6mqA8KLQ6ciTgpLS3QbjXziSEE93zCtrtZ0ta9lngJrUQaSfIXpYenHJC7bjIW.jpg 계획부터 완공까지 31년, 눈물없인 볼수 없는 타이베이돔의 역사

F6xe_HAbwAAplOD.jpg 계획부터 완공까지 31년, 눈물없인 볼수 없는 타이베이돔의 역사


그리고 2023년 5월 완공되고, 2023년 11월 타이베이시에서 정식으로 준공허가를 내면서 첫 계획으로부터 31년만에 드디어 타이베이돔이 준공되었음.


규모는 야구경기시 4만석, 콘서트시 5만석으로 좌석 19000석(현재는 시설보수로 16000석 규모로 축소), 콘서트 25000석 규모인 고척돔의 2배 정도 되는 규모임. 물론 처음에 아마추어용 야구장으로 계획되었다가 프로구장으로 계획을 변경했던 고척돔과 처음부터 프로용 구장으로 계획했다는 차이는 있지만.


----------------------------------


Tianmu_Baseball_Stadium_aerial_photograph.jpg 계획부터 완공까지 31년, 눈물없인 볼수 없는 타이베이돔의 역사

그런데, 이렇게 큰 돔을 지어놓고 정작 홈구장으로 쓰는 프로야구팀이 없는 상태임. 대만프로야구의 타이베이 연고구단인 웨이치안 드래곤스도 여기가 아닌 타이베이시립 텐무 야구장(사진)을 홈구장으로 쓰는 상태.


이유는 수익성 문제 때문. 당초 상정했던 건설비는 230억 대만달러(한화 약 9500억)이었는데, 공사가 수년간 중단되면서 건설비가 당초 예상에서 60%가량 초과된 370억 대만달러(한화 약 1조 5500억)까지 늘어났기 때문임. 이는 체급이 작긴 하지만 같은 돔구장인 고척돔의 공사비인 2500억을 아득히 뛰어넘는 금액임


이 때문에 민자사업자는 타이베이돔을 수익성이 높은 콘서트에 최우선적으로 대여하겠다라는 입장을 내보였고, 수년간 공사중단의 원인을 제공했던 타이베이시도 이 선언에 차마 이의를 제기하지 못했기(...) 때문.


결국 타이베이돔은 특정 팀의 홈구장으로 쓰이지 못한채, 대만 야구대표팀 경기장으로써의 사용과 동시에, 프로야구 구장으로써는 중립구장으로써만 사용되는 중임. 사실 홈구장으로 쓰고 싶어도 저런 막장 건설과정으로 인한 높은 대여비로 인해 모든 경기를 여기서 치르기는 어려운 환경이기도 하고.


현재까지 공연장으로는 사용된적 없으며, 주걸륜이 조만간 이 경기장에서 콘서트를 열겠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상태임. 현재로써 여기서 공연을 하게 될 첫 아티스트는 주걸륜이 될 가능성이 높음.


또한, 대만 야구계에서는 (가칭) MLB 타이베이 시리즈를 성사시키기 위해 MLB 사무국과 협의중이라고 밝혔으며, MLB 역시 긍정적으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음. 2025년에는 도쿄 시리즈가 열릴 것이 기정사실인 상태라 된다고 해도 빨라야 2026년일듯.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93,468건 2241 페이지
커뮤니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3844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101 17:08
63831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77 17:08
65201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70 17:06
52750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128 17:05
10613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98 17:03
12306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121 17:02
95365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83 17:01
57853 연예인
쿠로
96 16:59
66584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74 16:58
93369 연예인
쿠로
83 16:55
32745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93 16:54
17194 연예인
쿠로
91 16:52
47982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122 16:51
63860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102 16:49
95851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112 16:4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