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 3.1절 당시 외신들은 어떤 보도를 했을까? 그리고 일본의 훼방.jpg[55]

페이지 정보

작성자 푸히헤헤햏ㅎ 댓글 0건 조회 161회 작성일 24-03-01 13:53

본문




3·1운동 당시 아시아 소식을 전하는 외신 특파원들의 주(主) 거점은 일본 도쿄(東京)였다.

그러나 3.1 운동이 일어난 초기 도쿄의 분위기는 한마디로 잠잠했다.

일차적 보도를 시작한 일본 언론이 3·1운동을 '단순 폭동'으로 매도한 총독부 발표를 '앵무새'처럼 되풀이했고 심지어 일본 정부가 나서 특파원들의 보도를 통제한데 따른 것이다.

당시 아사히신문 1919년 3월3일 자에는 고종의 장례식 사진과 함께 3·1 운동 관련 소식이 처음 등장하는데, 기사 제목은 '야소교도(기독교도) 조선인의 폭동'이었다.

요미우리는 3월 7일 자에서 '조선에 넘쳐나는 학생 소동(騷動) 중대(重大)'라는 제목으로

고종 장례식에 맞춘 학생 행진 소식을 전했지만,

그 후로는 3월 내내 3.1운동 관련 기사가 거의 없었다.



3·1운동 관련 외신보도의 첫 물꼬를 튼 곳은 우리 독립운동의 산실과도 같은 상하이(上海)였다.

3·1운동이 일어난 지 사흘 뒤인 3월4일 상하이 영문 대륙보에 독립운동을 위해

한국인들이 일제히 봉기했다는 소식이 실린 것이다.

3·1운동이 영어(英語) 기사로 세계인들에게 알려진 첫 계기가 됐다.

이어 한국에서 온 독립운동가들로부터 '독립선언문'을 입수한 중국 언론은 3·1운동에 대한 동정적 보도를 하기 시작했다.

특히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물심양면으로 지원했던 국민당 기관지인 민국일보는

3.1운동과 독립선언 사실 보도에 이어

익명의 한인 여학생이 미국 대통령에게 보낸독립 호소 편지 전문을 게재하기도 했다.



AKR20190207090000009_12_i_P4.jpg 3.1절 당시 외신들은 어떤 보도를 했을까? 그리고 일본의 훼방.jpg



중국 민국일보가 전한 '조선의 혁명운동'


3·1운동 소식이 국제여론의 주무대였던 미국에 당도한 것은 3월 10일이었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 주요 도시에서 진행된 3.1 운동과 민족대표들이 인사동 태화관에 모여 진행한 독립선언식이 있은 지 꼭 9일 만이다.



16dcc804595134660a5c6f13fc17c851.jpg.crdownload.ren.jpg 3.1절 당시 외신들은 어떤 보도를 했을까? 그리고 일본의 훼방.jpg

*사진: 샌프란시스코 한인교회 앞에서 대한인국민회 동지들과 함께한 도산 안창호(1918~19)


당시 한국 독립운동가들이 미국 내의 독립운동 거점이었던 샌프란시스코의 대한인국민회로 발송된 전보(cablegram)를 인용한 것이 결정적 계기가 됐다.

"한국은 파리평화회의에서 독립국임을 인정해달라고 요구할 것이다",

"한국은 이미 3월 1일에 주요 도시에서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 소식은 일본의 통제로 그동안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다"

이런 내용으로 한국의 반일 저항 운동 소식을 일제히 지면에 실은 3월 10일 자 미국 신문의 3.1운동 보도는 확인된 것만 33건에 달한다.

3·1 운동에 대한 현지 언론의 관심이 적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UPI 통신의 전신인 유나이티드 프레스(United Press), 'A.P. 나이트 와이어' 등 뉴스통신 기사를 인용한 당시 신문들은 3.1운동의 실체를 비교적 상세하게 지면에 반영했다.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은 "300만명의 국민과 3천여개 교회가 참여하는 독립협회는 서울과 평양 등 여러 도시에서 독립을 선언했으며, 손병희 이상재 길선주를 파리평화회의에 보내 한국을 독립국으로 인정해 달라고 요구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오클랜드 트리뷴은 '한국이 전 세계에 독립 지지를 요청했다', 호놀룰루 애드버타이저는 "3월 1일 일본의 한국 지배 종료 선포", 호놀룰루 스타-불리틴은 '한국인들이 독립을 외친다' 등의 헤드라인을 뽑았다.

지면을 꼼꼼하게 들여다보면 일본이 3.1운동 소식의 외부 전파를 막기 위해 얼마나 치밀한 감시와 경계를 폈는지도 짐작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주 오렌지 카운티에서 발행되는 산타아나 레지스터는 "일본의 무선, 전신 통제 때문에 (독립) 선언 소식의 발이 묶였다"는 대한인국민회 고위 관계자의 설명을 기사에 반영했다.

엄혹한 식민통치를 직접 지켜본 미국인 판사는 3.1 운동 발생 자체를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 만큼 일제의 통제가 극심했다는 뜻이리라.

호놀룰루 스타-불리틴은 3월 11일 자 지면에 한국에서 7주간 적십자 활동을 한 적이 있는 존 A. 매슈먼 판사의 인터뷰를 실었다.

그는 "한국과 일본에 가본 사람으로서 일본이 식민통치에 저항하는 시도를 허용했다는 사실을 믿는다는 건 불가능하다. 여러 이유로 한국인들이 독립 선언을 했다는 상하이발 기사를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매슈먼 판사는 일본이 '프로이센주의'(비스마르크식 군국주의)를 적용해 한국을 혹독하게 통치했고, 호랑이와 여우가 출몰하는 지역에서조차 총기 소지를 금했으며, 학교에서 조차 한국인을 차별했고, 일본식 지명을 강요했다고 회고했다.

어쨌든 상하이발 전보 한 통으로 한국의 독립 선언과 반일 시위 소식은 미국 전역으로 서서히 퍼져나기 시작했다.


AKR20190207090000009_32_i_P4.jpg 3.1절 당시 외신들은 어떤 보도를 했을까? 그리고 일본의 훼방.jpg


3.1운동 독립 선언을 1면에 다룬 아이오와 시티 데일리 시티즌 1919년 3월10일자



AKR20190207090000009_28_i_P4.jpg 3.1절 당시 외신들은 어떤 보도를 했을까? 그리고 일본의 훼방.jpg


'3시간 만에 1천명 학살' 보도한 기사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은 1919년 4월 12일 자에서 "일본군이 대학살을 개시했다"며

서울에서 3시간 만에 1천 명이 학살됐다는 내용을 전했다.

오른쪽은 총 1만여 명이 대학살을 당했다는 다른 내용의 기사.





그러나 일본은 교묘한 '프레임'을 걸어 3·1운동을 왜곡하거나 의미를 축소하는데 열을 올렸다.

특히 3.1운동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기도 했다.


로스앤젤레스타임스(LA타임스) 3월 11일 자 보도에 따르면

주미 일본 대사관은 언론의 사실 확인 요청에

"상하이와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독립운동이 있었지만 한국에서는 아니다.

특별한 일이 없었다"고 부인했다.



호놀룰루 애드버타이저 3월 15일 자 1면에 실린 도쿄발 일본계 니푸지지(日布時事)의 기사는

"외국인 선교사의 선동으로 일어선 학생 등 많은 젊은이가 일본에 대항해 필사적으로 싸웠지만,

헌병에 제압됐다"고 상황을 묘사했다.



AKR20190207090000009_37_i_P4.jpg 3.1절 당시 외신들은 어떤 보도를 했을까? 그리고 일본의 훼방.jpg



일본계 니푸지지의 기사를 실은 1919년 3월15일자 호놀룰루 애드버타이저 지면




일본은 공문 등을 통해 조직적으로 보도를 통제하려 했다

이 때문에 독일에서는 초반에 몇 줄 단신으로 보도된 것 이외에 전혀 보도가 없을 정도였다




AKR20190207090000009_19_i_P4.jpg 3.1절 당시 외신들은 어떤 보도를 했을까? 그리고 일본의 훼방.jpg


독일 언론에 나온 3.1운동 관련 보도

'코리아의 소요사태는 진압되었다. 그곳은 다시 평온하게 됐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외신들은 외부와 단절된 한국에서 벌어진 3.1운동의 실체를 더듬어

더 상세한 소식을 전하기 시작했다.

중국 베이징에 상주 특파원을 두고 있던 AP통신의 역할이 컸다.

네브래스카주에서 발행되는 링컨 저널 스타는 3월 13일 자 지면에 "한국의 독립 시위는 일본이 인정한 것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진행된 것으로 확인됐다"는 베이징발 AP통신 기사를 실었다.

신문은 또 "일본은 3월 3일 고종황제 장례식 때 문제가 불거질 거로 보고 있었지만, 이

런 계획을 알고 있던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은 3월 1일 일본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을 벌였다. 모든 도시와 마을이 독립 시위대로 넘쳐났다"고 전했다.

샌프란시스코 이그재미너도 13일 자에서 소식통을 인용 "한국의 독립운동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평양에서는 시위 중 체포된 학생들이 발가벗겨진 채 십자가에 묶였다"며 시위 확산과 일제의 탄압을 상세하게 보도했다.

AKR20190207090000009_20_i_P4.jpg 3.1절 당시 외신들은 어떤 보도를 했을까? 그리고 일본의 훼방.jpg


프랑스 일간지 뤼마니테(L'Humanite)의 4월 13일자 상하이발 기사.

"한국의 독립운동이 여전히 강고하게 지속되고 있다면서 일본 당국이 가혹한 탄압을 하고 있으며

혁명의 희생자 수가 이미 상당하다"고 보도하고 있다.


그리고 같은 날 뉴욕타임스(NYT)도 사흘간 태평양 너머에서 타전된 소식들을 취합해

3.1운동과 독립 선언 관련 보도를 시작했다.

신문은 3면에 게재한 첫 관련 기사에 "한국인들이 독립을 선언했고,

시위에 가담한 수천 명이 일본에 체포됐다"는 제목을 붙였다.

3월 15일 자 NYT에 실린 오사카발 AP통신 기사는 한국인들이

아직도 일본에 저항해 싸우고 있으며, 4만명 이상이 체포됐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워싱턴포스트도 상하이에 온 독립운동 지도자들의 전언을 통해 확산일로의 독립 시위와

일본군의 잔혹한 탄압상황을 묘사했다.

기사에는 시위 도중 독립선언서를 든 한 여학생의 손을 일본 군인이 장검으로 훼손했지만,

이 여학생은 다른 한 손에 선언서를 들고 시위를 계속했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


AKR20190207090000009_23_i_P4 (1).jpg 3.1절 당시 외신들은 어떤 보도를 했을까? 그리고 일본의 훼방.jpg



1919년 8월23일 이탈리아 일간 '코리에레델라세라'에 실린 3.1 운동 관련 기사.
기사는 조선총독부가 한국에 자치권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결국 군대, 경찰을 앞세워 무단통치를 하던 조선총독부가 3.1운동을 계기로 문화통치로 정책을 바꾸게 됐음을
보여주는 대목으로 풀이된다.



주목할 대목은 3·1운동 소식이 전해진 이후 일본의 여론조작에 영향을 받은 미국 언론을 중심으로 조선인의 통치능력을 깎아내리는 논조의 보도가 잇따라 등장한 점이다.

뉴욕타임스에 실린 '이집트와 한국'이라는 제목의 사설과 LA 타임스가 보도한 일본 태생의 선교사 에드문드 데이비슨 소퍼의 인터뷰가 대표적이다.


에드먼드.png 3.1절 당시 외신들은 어떤 보도를 했을까? 그리고 일본의 훼방.jpg


기사의 논조는

한국이 스스로 국가를 운영할 능력이 없는 미개한 나라라는 주장이다.

한국의 자치 능력을 깎아내리는 이들 기사에

일본이 조직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590px-Shimpei_Got.jpg 3.1절 당시 외신들은 어떤 보도를 했을까? 그리고 일본의 훼방.jpg

-고토 심페이-

다만, 당시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한 고토 심페이(後藤 新平) 전 외무상이 같은 취지의 발언을 한 점으로 미뤄, 일본이 한국 지배를 정당화하려 '프레임 싸움'을 시도했을 것이라는 추측은 가능하다.

고토는 3월 22일자 샌프란시스코 이그재미너 인터뷰에서

"한국이 마치 억압받으면서 자유를 갈구하는 것처럼 묘사된다.

그러나 한국은 서구의 보호를 받는 다른 민족보다 훨씬 자치 능력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75,982건 2238 페이지
커뮤니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2492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77 16:24
38761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67 16:12
29504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88 16:11
56131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68 16:10
87996 연예인
쿠로
62 16:09
46954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71 16:07
33024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74 16:06
52762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74 16:05
64974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92 16:03
83233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58 16:02
26037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55 16:01
21108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74 15:44
24679 연예인
쿠로
79 15:42
84756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84 15:41
33128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64 15:40
게시물 검색